브리튼의 두번째 방문객 - 켈트족
이베리아인 이후 브리튼 섬으로 이주해온 민족이 켈트족이다. 참고로 켈트족은 고대 로마시대엔 갈리아인(프랑스 갈리아 지역의 사람들이란 뜻)이라고 불리었다. 그렇다면 갈리아인이자 켈트족은 언제 브리튼 섬으로 이주한 것일까? 대략적으로 기원전 6 - 4세기에 프랑스의 갈리아 지역과 영국의 브리타니아로 진출한 것으로 보인다. 켈트족의 특징은 라텐문화, 즉 유럽철기시대의 문화를 낳은 민족으로 호전적이며 목축을 중심으로 생활하던 이들이었다.
켈트인들은 브리튼 내에 구릉지대에 성채를 구축하였고, 기원전 2세기엔 켈트 고유의 섬 국가 문화가 모습을 드러냈다. 특징이라고 한다면 돼지고기를 먹고 맥주를 마시는 것과 드루이디즘 의식의 발달, 켈트족 특유의 토조 성채를 쌓는 등의 기술이다. 심지어 카이사르가 쓴 갈리아 전기의 내용을 보게되면 고대 시대인 이때부터 브리튼인의 왕이 존재했다는 것을 알게된다. 즉 계급이 존재하는 사회가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로마 역사에도 기록될 정도의 강한 부족들이 등장했지만, 통일된 왕조를 이루지는 못했다. 그리고 이는 켈트족의 한계였다. 강한 부족국가가 있더라도 통일된 국가가 없다는 것은 결국 산발적인 세력이란 뜻이다. 중앙 집권적인 로마 앞에선 켈트인들은 너무나도 약했다. 이 내용은 로만 브리튼에서 좀더 다루겠다.
그렇다면 기존에 브리튼에 살고 있던 이베리아인들은 어떻게 된 것일까? 켈트인들이 이주하기 전에 다 죽은 것일까? 그렇지 않았다. 아리안의 한 분파인 켈트족이 브리튼에 이주하면서 기존에 터를 잡고 있던 이베리아인들을 학살하거나 산지로 몰아 버리거나 동화를 시켰을 것이다. 그렇게 브리타니아를 켈트족의 문화권으로 장악한 것이다. 학자들은 이 시기에 이베리아인들이 거의 말살 되었을 것이라 추측한다.
브리튼의 최초인은 분명 이베리아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문화를 만들고 남긴 것은 켈트족이다. 그렇기에 브리튼의 최초의 문화적 원주민은 켈트족이라고 할 수 있다.
브리튼 내의 켈트족 구성
켈트족은 아일랜드의 게일인과 스코트랜드 쪽의 픽트족과 로만 브리튼, 브리튼인으로 나뉘게 된다. 특별히 픽트족은 끝가지 로마 침공에 대항하여 싸웠던 이들이었다. 이와 반대로 브리튼인들은 로마제국의 통치를 받아들인 이들로 로마제국에 동화되어 생김새만 켈트족일뿐 생활습관과 생각은 로마인 그 자체가 된 이들이었다. 또한 브리튼인 중에는 로마인들과 결혼하여 혼혈을 낳기도 했다. 물론 이 내용은 로만 브리튼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픽트족과 브리튼인 하드리아누스 성벽을 기점을 이북은 픽트족, 이남은 브리트인의 거주 구역이었다.
그러나 서로마의 멸망 후 픽트족이 브리튼 인들을 학살했다. 이때 공격당하던 브리튼인들이 앵글로색슨족의 용병을 고용했다. 그런데 앵글로색슨족이 배신하여 브리튼인들을 도륙하고 산악지역으로 몰아낸다. 그리고 이런 상황에서 앵글로색슨족으로 부터 브리튼인들을 구원해줄 구원자를 만들어내게 되는데 그 인물이 바로 아서 왕이다. 아마도 잠시나마 앵글로색스족의 침공을 막아냈던 지도자를 미화해서 전설로 발전된 것이 아닌가 추측한다. 이때 도망친 브리튼인들이 후에 웨일스인이 된다.
결론
오늘 살펴본 바와 같이 영국의 현재까지 남아 있는 혈통 중 가장 오래된 혈통이 바로 켈트족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켈트족의 역사는 영국 역사의 중세시대까지 다루어야 한다. 그래야 앵글로색슨족이 중심이되는 7왕국 시대가 나오게 된다. 그러나 오늘은 브리튼으로 넘어온 켈트족이 어떤 이들이었고 무엇을 했는지 간단히 살펴보았다. 다음엔 로만 브리튼의 시대에 켈트족과 앵글로색슨의 침공 후 7왕국이 어떻게 생성되는지 까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영국 역사 > 브리튼의 역사(History of the Brit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역사] 브리튼 제도의 선사시대 (0) | 2023.09.06 |
---|